기도
기도(1)
시릴로1004
2009. 8. 8. 08:23
기도에 대한 동방교회의 가르침
토마스 스피들릭
허성석 로무알도 신부 옮김 (성 베네딕도 수도회)
목 차
1. 기도의 본질
1) 기도의 탁월성과 필요성
2) 기도의 대상
3) 기도의 정의
4) 청원기도
5) 하느님을 향한 정신의 상승
2. 기도의 단계와 유형
1) 기도의 단계
2) 전례기도
3) 이콘
4) 교회-건물의 상징
3. 끊임없는 기도
1)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1데살 5,17)
2) 짧은 기도의 수행
3) 예수기도
4) 예수기도의 세 단계
5) 심신상관적 기법
6) 러시아의 순례자
7) 예수기도에 관한 숙고
1. 기도의 본질
1) 기도의 탁월성과 필요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의 말대로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하고 어려운 것을 쉽게 하는 기도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기도하는 사람이 죄를 짓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은둔자 테오파네스tm(Teofane il Recluso)는 기도에 관한 교부들의 작품이 그렇듯 많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기도는 전부이며 신앙과 신앙생활 전체를 요약한다. 누군가 교부들이 쓴 기도문들을 모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모음집은 구원을 위한 참된 입문서가 될 것이다.” 사실 기도는 우리 안에 계신 성령의 생명에 대한 표현, 정신의 호흡, 영성생활의 바로미터이다. 전(全) 교회는 기도로 숨을 쉰다.
수도승들은 한때 기도를 학문 중의 학문인 거룩한 철학이라고 불렀다. 철학은 언제나 궁극적인 토대와 모든 실재의 존재이유를 추구하였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 그러한 토대는 성부이며, 성령은 성자를 통해서 우리를 성부께 인도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은 하나의 인격이지 우주의 원리가 아니다. 따라서 그분께 가까이 다가감은 대화를 전제한다. 기도는 바로 이 대화이다.
2) 기도의 대상
고대 전례 규정에 의하면, 기도는 성령 안에서 성자를 통하여 성부께 향한다. 오리게네스는 예수 그리스도께 기도해서는 안 되고 그분을 통해서 기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단지 나중에 와서야 중개자들에게 직접 호소하는 일이 흔해졌다.
기도 중에 인간 정신은 성령에 의해 인도된다. 기도는 성령 안에서 하는 것이다.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기도하시며, 우리가 무엇을 청할지를 가르쳐 주신다. 우리 목소리는 그렇게 하느님께 도달한다.
게다가 기도는 하느님 말씀(그리스도)의 기도에 참여하는 것이다. 오리게네스의 아름다운 표현에 따르면 말씀께서는 단지 혼자 기도하시지 않는다. 오늘날의 언어로 ‘신비적 그리스도’의 기도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코미아코프(Chomjakov)는 기도의 이 교회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누구도 자신의 개인 기도를 신뢰할 수 없다. 기도하는 사람은 누구나 전 교회의 중재를 요청한다. 천사들과 사도들, 순교자들과 성조들 그리고 모든 이 가운데 가장 위대하신 우리 주님의 어머니께서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신다. 이 거룩한 일치가 교회에 참된 생명을 가져다준다.”
기도를 통한 중재이자 세상 운명에의 참여인 사랑 충만한 이 도움을 강조하기 위하여 동방 그리스도인들은 ‘성인들의 공로에 대한 가역성’이라는 표현을 너무 법률적이라고 생각하여 잘 사용하지 않았다.
3) 기도의 정의
중세 신학자들은 기도에 대해 스스로 정의를 내리기 이전에 교부들이 내린 정의들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상당히 자주 이 정의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기도에 대한 정의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도의 한 측면 혹은 다른 측면을 묘사하는데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도가 “지성의 한 상태, 모든 현세적 생각의 파괴자” 혹은 “하느님 영광의 표명” 등으로 불려진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리스도교 전통 전체에서 다음 세 개의 정의가 두드러지게 되었다.
- 기도는 합당한 선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과 같다.
- 기도는 하느님을 향해 정신을 들어 높이는 것과 같다.
- 기도는 하느님과 영혼의 대화와도 같다.
요한 다마쉐누스는 앞의 두 개를 혼합하여 이렇게 정의한다. “기도는 하느님을 향한 정신의 들어 높임 혹은 합당한 선을 하느님께 청함이다.” 다른 많은 작가가 이 정의를 따르고 있다.
토마스 스피들릭
허성석 로무알도 신부 옮김 (성 베네딕도 수도회)
목 차
1. 기도의 본질
1) 기도의 탁월성과 필요성
2) 기도의 대상
3) 기도의 정의
4) 청원기도
5) 하느님을 향한 정신의 상승
2. 기도의 단계와 유형
1) 기도의 단계
2) 전례기도
3) 이콘
4) 교회-건물의 상징
3. 끊임없는 기도
1)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1데살 5,17)
2) 짧은 기도의 수행
3) 예수기도
4) 예수기도의 세 단계
5) 심신상관적 기법
6) 러시아의 순례자
7) 예수기도에 관한 숙고
1. 기도의 본질
1) 기도의 탁월성과 필요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의 말대로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하고 어려운 것을 쉽게 하는 기도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기도하는 사람이 죄를 짓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은둔자 테오파네스tm(Teofane il Recluso)는 기도에 관한 교부들의 작품이 그렇듯 많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기도는 전부이며 신앙과 신앙생활 전체를 요약한다. 누군가 교부들이 쓴 기도문들을 모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모음집은 구원을 위한 참된 입문서가 될 것이다.” 사실 기도는 우리 안에 계신 성령의 생명에 대한 표현, 정신의 호흡, 영성생활의 바로미터이다. 전(全) 교회는 기도로 숨을 쉰다.
수도승들은 한때 기도를 학문 중의 학문인 거룩한 철학이라고 불렀다. 철학은 언제나 궁극적인 토대와 모든 실재의 존재이유를 추구하였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 그러한 토대는 성부이며, 성령은 성자를 통해서 우리를 성부께 인도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은 하나의 인격이지 우주의 원리가 아니다. 따라서 그분께 가까이 다가감은 대화를 전제한다. 기도는 바로 이 대화이다.
2) 기도의 대상
고대 전례 규정에 의하면, 기도는 성령 안에서 성자를 통하여 성부께 향한다. 오리게네스는 예수 그리스도께 기도해서는 안 되고 그분을 통해서 기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단지 나중에 와서야 중개자들에게 직접 호소하는 일이 흔해졌다.
기도 중에 인간 정신은 성령에 의해 인도된다. 기도는 성령 안에서 하는 것이다.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기도하시며, 우리가 무엇을 청할지를 가르쳐 주신다. 우리 목소리는 그렇게 하느님께 도달한다.
게다가 기도는 하느님 말씀(그리스도)의 기도에 참여하는 것이다. 오리게네스의 아름다운 표현에 따르면 말씀께서는 단지 혼자 기도하시지 않는다. 오늘날의 언어로 ‘신비적 그리스도’의 기도에 참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코미아코프(Chomjakov)는 기도의 이 교회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누구도 자신의 개인 기도를 신뢰할 수 없다. 기도하는 사람은 누구나 전 교회의 중재를 요청한다. 천사들과 사도들, 순교자들과 성조들 그리고 모든 이 가운데 가장 위대하신 우리 주님의 어머니께서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신다. 이 거룩한 일치가 교회에 참된 생명을 가져다준다.”
기도를 통한 중재이자 세상 운명에의 참여인 사랑 충만한 이 도움을 강조하기 위하여 동방 그리스도인들은 ‘성인들의 공로에 대한 가역성’이라는 표현을 너무 법률적이라고 생각하여 잘 사용하지 않았다.
3) 기도의 정의
중세 신학자들은 기도에 대해 스스로 정의를 내리기 이전에 교부들이 내린 정의들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상당히 자주 이 정의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기도에 대한 정의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도의 한 측면 혹은 다른 측면을 묘사하는데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도가 “지성의 한 상태, 모든 현세적 생각의 파괴자” 혹은 “하느님 영광의 표명” 등으로 불려진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리스도교 전통 전체에서 다음 세 개의 정의가 두드러지게 되었다.
- 기도는 합당한 선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과 같다.
- 기도는 하느님을 향해 정신을 들어 높이는 것과 같다.
- 기도는 하느님과 영혼의 대화와도 같다.
요한 다마쉐누스는 앞의 두 개를 혼합하여 이렇게 정의한다. “기도는 하느님을 향한 정신의 들어 높임 혹은 합당한 선을 하느님께 청함이다.” 다른 많은 작가가 이 정의를 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