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릴로1004
2010. 8. 27. 09:12
|
퇴계 선생님의 도인법 |
1.치아운동(叩齒集神圖勢)

1) 양다리를 책상다리하고 앉아서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2) 정신을 집중하여 아래와 위 치아를 딱딱 맞부딪치기를 36회 운동한다. 3) 뒤이어 양손바닥으로 뒷머리를 감싸쥐고 9회 심호흡한다. 4) 양손을 조금 앞쪽으로 이동시켜 양쪽 귀를 덮고 집게손가락을 가운데 손가락에 겹쳤다가 미끄러뜨리며 뒷머리 뼈를 탁탁 퉁기는데 좌우 각각 24회씩 운동한다. <유의점> 호흡의 진수는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
2.목운동(搖天柱圖勢)

1) 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편한 자세로 앉는다. 2) 허리를 펴고 상기 그림과 같이 양손을 맞잡는다. 3) 목을 좌우로 각각 24회씩 돌린다. <유의점> 목운동 시 어깨도 함께 움직이며, 포개어 있는 손 모양에 유의하되, 일반 맥을 잡을 때 그 위치이며 손과 머리부분은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오늘날 스트레칭 하듯이 하도록 한다.
|
3.혀운동(舌攪漱咽圖勢)

1)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앉아서 주먹을 꽉 쥐고 양손을 머리 위로 호랑이와 같은 기상으로 뻗어 올린다. 2)입안의 혀를 좌우?상하로 움직여 입천장과 아래윗 잇몸, 아래윗 치아 등을 안팎을 마치 붉은 용이 요동치듯 혀운동 36회 실시한다. 3)입안에 신수(神水) 즉 침이 모이면 이 신수를 3번 나누어 마치 단단한 음식을 삼키는 것처럼 신경을 써서 삼킨다. <유의점> 이때 호랑이와 용을 생각하고 신수의 3등분을 기억한다
|
4.옆구리운동(摩腎堂圖勢)

1) 양손바닥이 뜨거워지도록 맞비빈다. 2) 맞비빈 그 손으로 허리 뒤쪽 신장부위를 아래 위로 천천히 36회 마찰한다. 3)주먹을 쥔 채 양손을 무릎 올려놓고 심호흡을 하여 하복부에 단전에 화기를 보낸다. <유의점> 허리운동으로써 특히 신장 즉 콩팥부분의 운동에 주안점이 있으며 호흡시 숨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행하여야 한다.
|
5.어깨운동(單關녹로圖勢)

1)고개를 숙이고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왼쪽 어깨 관절을 회전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실시한다. 2)좌우 손을 바꾸어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어깨를 회전시키면서 돌리기를 36회 실시한다. <유의점> 녹로 즉 ?도르래?라는 뜻임을 유의하여 어깨를 기점으로 돌림을 기억한다
|
6.양어깨운동(左右按頂圖勢)

1) 양손등을 편 채 허리에 댄다 2) 양쪽 어깨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돌리기를 36회 실시한다. 3) 양다리를 앞으로 쭉 뻗는다. <유의점> 이때 단전의 화기가 어깨관절을 거쳐 뒤통수로 올라가는 것으로 상상하면서 코로 맑은 기를 들이마신다
|
7. 양손운동(左右按頂圖勢)

1) 양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로 하거나 다리를 책상다리하여 앉은 자세를 취한다. 2) 양손을 맞비비면서 「커허」 소리를 내기 운동을 5회 실시한다. 3)양손을 맞잡아 깍지를 끼고 양손을 머리 위로 뻗어 올리되 손바닥을 위로 향하는 운동을 9회 실시한다. <유의점> 이때 양손을 위로 뻗을 때 마치 하늘을 떠받쳐 올리는 기분으로 하되 자세가 구부러지면 안 된다.
|
8.다리운동(구攀圖勢)

1) 고개를 숙이고 양손으로 발바닥 중심을 잡는다. 2) 잡은 양손과 양다리를 가슴 쪽으로 12회 끌어당기기는 운동을 실시한다. 3)뻗었던 양발을 거두어 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단정하게 앉아서 입안에 고인 침을 3번 나누어 삼킨다. <유의점> 이때 침이 잘 생겨 넘어가도록 특별히 신경 쓴다. 침이 잘 생겨 돌면 전신의 맥이 고르고 안정되어 기혈 순환이 잘 되기 때문이다 |